리눅스(2)
-
리눅스(linux) 크론 설정 기초, 크론(cron), 크론탭(crontab) 사용방법 ******/
리눅스 서버에서 cron으로 자동 작업 스케줄링하기서버 운영 중 반복적인 작업을 자동화하고 싶을 때, 리눅스의 cron은 아주 강력한 도구입니다. 이번 글에서는 cron의 기본 개념부터 설정 방법, 실전 예제까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1. cron이란?cron은 리눅스/유닉스 시스템에서 주기적인 작업을 예약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작업 스케줄러입니다. 시스템 유지보수, 백업, 로그 정리, 이메일 전송 등 다양한 자동화 작업에 활용됩니다.2. crontab의 위치 및 구조사용자별 cron 설정은 crontab이라는 파일을 통해 관리됩니다.명령어: crontab -e 를 입력하면 현재 사용자에 대한 cron 편집 화면이 열립니다.crontab 한 줄 구조* * * * * /실행할/스크립트/또는/명령┬ ┬ ..
2025.07.11 -
리눅스 마스터 기출문제 001
1. ‘chmod ( ) spool.sh’를 사용하여 spool.sh 파일의 권한을 ‘rwxr-xr-x’로 만들고자 한다. ( )안에 알맞은 것은? ① 655 ② 722 ❸ 755 ④ 644 2. df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? ❶ 하드 디스크의 용량을 디렉토리 별로 확인 가능 하다. ② 파일 시스템의 크기를 kilobyte 단위로 보려면 -k 옵션을 사용한다. ③ 블록 사용 정보 대신 i-node 정보를 보고 싶으면 -i 옵션을 사용한다. ④ 파일 시스템의 크기가 0인 것도 모두 보고자 할 때 -a 옵션을 사용한다. 3. 다음 중 리눅스 명령어의 설명을 간단하게 보여주는 것으로 알맞은 것은? ① vim ❷ whatis ③ whereis ④ which 4. 다음 파일의 소유자나 파일이 속한 그룹을 변경..
2022.12.14